나름 스포티한 제네시스 쿠페를 타다 보니,
이따금 타이어의 안위(+저의 안위..)가 걱정되어 구매했던 외장형 TPMS를 잘 쓰고 있었습니다.
전면 썬팅이 없다 보니 겨울 제외하고는 충전도 잘 되고, 값도 그런대로 쓸만한 정확성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아니!
벌써 세 번째 경고음이 울립니다.
세 번 모두 범인은 바로 이 녀석..
이전에 중고로 휠타이어를 사왔었고, 끼워진 타이어의 연식(10년 초과..)을 감안하면 그 세월을 대충 짐작할 수 있었죠.
뭐 피스라도 박힌 거면 셀프로 지렁이 때우겠는데, 밸브는 장비 없이 셀프 교체가 사실상 불가합니다.
비드 깨고(타이어 탈착기) - 밸브 갈고(밸브) - 바람 넣고(고압 컴프)
처음 RL가 터졌을 때는 그냥 운이 안 좋았나 해서 그 바퀴만 바꿨고,
두 번째 FL 밸브도 운이 아주 안 좋았나 해서 그 바퀴만 바꿨고,
세 번째 FR가 터졌을 때는 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겠다 싶었습니다.
(이 때는 남은 마지막 RR밸브도 예비용으로 갈았습니다.)
주변에 아주 저렴하게 타이어 교체해주는 곳이 있어서 기분좋게 타이어를 끼워놨더니
밸브 가느라 세이브한 비용을 다 날려버렸습니다..
왜일까 생각을 해보니 모든 일은 외장 TPMS를 단 이후에 발생한 것이라는 결론에 다다랐습니다.
외장형 TPMS 센서의 무게는 약 10g 안팎이고, 사실 별 거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큰 오산이었습니다.
인터넷에서 찾은 위 동영상처럼, 아무것도 안 달아도 엄청나게 휘는군요..
뭔가 휠 마다 다른 것인지 회사 차 순정 휠은 밸브가 휘지 않던데, 카피휠인 저는 얄짤없습니다.
100km/h로 달릴 때 10g의 센서에 가해지는 원심력을 대충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Fc= m*r*w^2
m = 0.01 (TPMS 무게 10g)
r = 0.2 (18인치 휠 반지름이 0.228m , 밸브 위치를 0.2m로 가정)
w = 86.8 (245 40 18의 원주 2.05m)
약 1.5kgf라는 상당한 무게가 가해집니다.
200km/h라면 6kgf가 넘네요..
내려가서 휠을 확인해보니, 모든 바퀴에 저런 자국이 나 있습니다.
분명히 밸브가 휘어서 닿았다는 증거이지요..
이제 이것을 해결할 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
1. 그냥 신규 밸브로 자주 갈아주기
- 언제 터질지 모르는 불안감을 갖고 지내야 합니다.
2. 짧은 밸브로 변경하기
- 아무리 짧은 밸브라도 6kgf의 힘을 받았을 때 멀쩡할지 모르겠습니다.
3. 금속 밸브로 변경하기
- 결국 내부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고무가 존재하고, 이것에 가해지는 하중은 크게 변함없을 것 같습니다.
4. 밸브 보강하기
- 외관을 포기하고 밸브 주변에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저는 외관에 크게 신경쓰지 않기 때문에 4번을 택했습니다.
찾아보니 위와 같은 Tire Valve Stem Support 내지 Stabilizer가 있는데..
판매처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간단한 물품으로 대체할 만한 것을 찾다가 아래와 같이 마무리하였습니다.
그것은 바로 음료캔 탭(...)
뺀치로 적당히 펴 주면 딱 맞게 들어갑니다 하하
처음에는 판매하는 물건처럼 할까 싶었는데, 휠에 붙이는 것 보다 밸브에 붙이는 게 나중에 제거도 쉬울 것 같아서요..
(사실 철판 짤라서 만들기가 귀찮았습니다.)
본드로 살짝 마무리했더니, 고정은 튼튼하게 됩니다.
캔 탭 무게는 약 0.3~0.5g이어서, 100km/h로 달려도 0.06kgf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외장 센서에 비하면 무시할 만한 수준이죠..
아무튼 이렇게 다녀 보다가, 정 아니다 싶은 다른 방법을 찾아봐야겠습니다 ㅎㅎ
'자동차 이야기 > 제네시스 쿠페 3.8'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서킷 방문기 인제스피디움 : 심레이싱 쨉쨉이가 서킷을 가면 얼마나 빠를까? (4) | 2024.12.15 |
---|---|
제네시스 쿠페 3.8 수동 구삼수 1년 결산 (8) | 2024.09.12 |
제네시스 쿠페 3.8 수동 구삼수 3개월 후기 (2) | 2024.01.14 |
스로틀 컨트롤러 장착 (1) | 2023.10.28 |
안드로이드 올인원 장착 (1) | 2023.10.27 |